목록전체 (106)
개발스토리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줄임말이며, 서버의 자원을 정의하고 자원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을 가리킨다. 자원이라고 해서 꼭 파일일 필요는 없으며 서버가 행할 수 있는 것들을 통틀어서 의미한다. GET : 서버 자원을 가져오고자 할 때 사용된다. 요청의 본문에 데이터를 넣지 않는다. 데이터를 서버로 보내야 한다면 쿼리 스트링을 사용한다. POST : 서버에 자원을 새로 등록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요청의 본문에 새로 등록할 데이터를 넣어 보낸다. PUT : 서버의 자원을 요청에 들어 있는 자원으로 치환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요청의 본문에 치환할 데이터를 넣어 보낸다. PATCH : 서버 자원의 일부만 수정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요청의 본문에 일부 수정할 ..
요청과 응답 이해하기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있기에 동작한다.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을 보내고 서버에서는 요청의 내용을 읽고 처리한 뒤 클라이언트에 응답을 보낸다. 따라서, 서버에는 요청을 받는 부분과 응답을 보내는 부분이 있어야 한다. 요청과 응답은 이벤트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이 왔을 때 어떤 작업을 수행할지 이벤트 리스너를 미리 등록해두어야 한다. 이벤트 리스너를 가진 노드 서버를 만들어보자. //createServer.js const http = require('http'); http.createServer((req,res)=>{ // 어떻게 응답할지 적자. }); req 객체는 요청에 관한 정보들을, res 객체는 응답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이제, 응..
fs 모듈은 파일 시스템에 접근하는 모듈이다. 즉, 파일을 생성하거나 삭제하고, 읽거나 쓸 수 있다. 폴더도 만들거나 지울 수 있다. //readme.txt 안녕하세용 //readFile.js const fs = require('fs'); fs.readFile('./readme.txt',(err,data)=>{ if(err){ throw err; } console.log(data.toString()); //안녕하세용 }) fs 모듈을 불러온 뒤 읽을 파일의 경로를 지정한다. 파일의 경로는 node 명령어를 실행하는 콘솔 기준이라는 점에 유의하자. fs는 기본적으로 콜백 형식의 모듈이므로 실무에서 사용하기 불편하다. 따라서 fs 모듈을 프로미스 형식으로 바꿔주는 방법을 사용한다. // readFilePro..
노드 내장 객체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바로 사용 가능하며, 브라우저의 window 객체와 비슷하다. 노드 프로그래밍을 할 때 많이 쓰이는 내장 객체를 알아보자. global 전역 객체이므로 모든 파일에서 접근할 수 있다. 생략이 가능하다. 이전 내용에서 사용했던 require 함수도 global.require에서 global이 생략된 것이다. global 객체 내부에는 매우 많은 속성이 들어 있으며, 이를 보려면 REPL을 이용해야 한다. ! 노드에 DOM, BOM이 없으므로 window와 document 객체는 사용할 수 없다. 전역 객체라는 점을 이용해 파일 간에 간단한 데이터를 공유하기도 한다. //globalA.js module.exports = () => global.message; //glo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