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IT (4)
개발스토리
오늘날에 프로그래밍 언어(Java, Python, PHP, C# etc)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지원한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더 나은 프로그램으로 만들기 위해 로직을 상태와 행위로 이루어진 객체로 만드는 것이다. 이 객체들을 퍼즐처럼 맞추어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라고 할 수 있다. 각 객체는 메시지를 받을 수도 있고,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으며, 또 다른 객체와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런 것들이 인터페이스가 일어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따라서, 각 객체는 별도의 역할을 갖고 책임을 가지는 작은 독립된 부품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부품들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방법만 알면 쓸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내부의 동작 방법을 안으로 숨기고 사용자에게는 부품의 사용법..
버스란 컴퓨터를 공부하다 보면 많이 접하는 단어이다. 한 마디로 우선 정리하자면, 버스는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이다. 추가로, 버스는 같은 기능을 가진 신호선 묶음이며 컴퓨터 시스템 각 부분 사이에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한다. 대부분의 프로세스는 3개의 버스를 가진다. 1. 주소 버스 ( address bus ) : 데이터 전송 시에 데이터가 메모리 몇 번지에 있는 지를 나타낸다. 2. 데이터 버스 ( data bus ) : 연산된 결과와 같은 필요한 값을 나타낸다. 3. 제어 버스 ( control bus ) : 데이터가 어찌 관리되는지, 어느 방향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등을 제어한다.
운영체제의 중요 기능에는 무엇이 있을까? * 프로세스 관리 * 메모리 관리 * 저장장치 관리 * 파일 시스템 위 4가지 등이 있다. -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말한다. - 자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cpu, 메모리, 파일, 입출력장치를 포함한 여러 자원을 필요로 한다. - 프로그램은 수동적인 단위 : 디스크에 저장 된 파일 - 프로세스는 능동적인 단위 - 프로세스의 생성과 제거 - 프로세스의 중지와 재수행 - 프로세스간 동기화 - 프로세스간 통신 - 교착상태 방지 ----------------------------------------------------------------------------------------------..
운영체제란? 운영체제 즉 Operating System은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컴퓨터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겨을 제공하는 여러 프로그램의 집합이다. 운영체제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cpu,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 자원을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운영체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목적을 가진 프로그램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1. User view -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 - 컴퓨터 시스템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2. System view - 컴퓨터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이용 - 특히, 다중 사용자 컴퓨터인 경우 여기까지 읽었을 때, 컴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