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NEST
- 운영체제
- 데이터베이스
- 백트래킹
- S3
- IT
- 되추적
- 컴퓨터보안
- rest docs
- 병행제어
- 알고리즘
- DATABASE
- 인터럽트
- AWS
- 탐욕기법
- OS
- 보안
- 컴퓨터 보안
- access control
- ES6
- 스프링부트
- node.js
- 컴퓨터
- 백준
- node
- DB
- API문서
- 디비
- 자바스크립트
- 노드
- Today
- Total
개발스토리
노드 내장 객체 본문
노드 내장 객체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바로 사용 가능하며, 브라우저의 window 객체와 비슷하다.
노드 프로그래밍을 할 때 많이 쓰이는 내장 객체를 알아보자.
global
- 전역 객체이므로 모든 파일에서 접근할 수 있다.
- 생략이 가능하다.
- 이전 내용에서 사용했던 require 함수도 global.require에서 global이 생략된 것이다.
- global 객체 내부에는 매우 많은 속성이 들어 있으며, 이를 보려면 REPL을 이용해야 한다.
! 노드에 DOM, BOM이 없으므로 window와 document 객체는 사용할 수 없다.
- 전역 객체라는 점을 이용해 파일 간에 간단한 데이터를 공유하기도 한다.
//globalA.js
module.exports = () => global.message;
//globalB.js
const A = require('./globalA');
global.message = '안녕';
console.log(A()); //안녕
- globalB에서 넣은 global.message 값을 globalA에서도 접근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위 방식과 같은 방법은 되도록이면 사용하지 말자. 유지 보수에 어려움을 겪는다. 다른 파일의 값을 사용하고 싶다면 모듈 형식으로 만들어서 명시적으로 값을 불러와 사용하자.
console
- console도 global 객체 안에 들어있다.
- 보통 디버깅을 위해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console.log 메서드가 있다.
다른 로깅 함수도 알아보자.
타이머
- setTimeout(콜백 함수, 밀리초) : 주어진 밀리초 이후에 콜백 함수를 실행
- setInterval(콜백 함수, 밀리초) : 주어진 밀리초마다 콜백 함수를 반복 실행
- setImmediate(콜백 함수) : 콜백 함수를 즉시 실행
이 타이머 함수들은 모두 아이디를 반환하다. 아이디를 사용하여 타이머를 취소할 수 있다.
- clearTimeout(아이디) : setTimeout을 취소
- clearInterval(아이디) : setInterval을 취소
- clearImmediate(아이디) : setImmediate를 취소
! setImmdiate(콜백)과 setTimeout(콜백, 0)에 담긴 콜백 함수는 이벤트 루프를 거친 뒤 즉시 실행된다.
setImmdiate가 항상 setTimeout(콜백, 0)보다 먼저 호출되지는 않는다.
__filename / _dirname
-
노드에서는 파일 사이에 모듈 관계가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현재 파일의 경로나 파일명을 알아야 한다.
-
이 때 가볍게 로그를 찍어보면 쉽게 알아낼 수 있다.
-
하지만 경로 구분자 문제 등이 있기 때문에 보통은 path 모듈과 사용한다.
module, exports, require
지금까지 모듈을 만들 때 module.exports만 사용했지만, exports 객체로도 모듈을 만들 수 있다.
// var.js
exports.odd = '홀수';
exports.even = '짝수';
- 위와 같은 방식으로도 모듈을 생성할 수 있다.
- module.exports가 exports와 같은 객체를 참조하기 때문이다.
- module.exports는 어떤 값이든 대입해도 되지만, exports에는 반드시 객체처럼 속성명과 속성값을 대입해야 한다. 다른 값을 대입하면 객체의 참조 관계가 끊겨 모듈로 기능하지 않게 된다.
- 함수를 대입한 경우 X
- 되도록 동시에 사용하지 말자.
- require가 반드시 파일 최상단에 위치할 필요가 업고, module.exports도 최하단에 위치할 필요가 없다.
노드에서의 this
- 최상위 스코프에 존재하는 this는 module.exports(or exports 객체)를 가리킨다.
- 함수 선언문 내부의 this는 global 객체를 가리킨다.
process
-
process 객체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노드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
process.env는 서비스의 중요한 키를 저장하는 공간으로도 사용된다.
const secretID = process.env.SECRET_ID; const secreCode = process.env.SECRET_CODE;
-
process.nextTick(콜백) : 이벤트 루프가 다른 콜백 함수들보다 nextTick의 콜백 함수를 우선으로 처리하도록 만든다.
process.nextTick(()=>{
console.log('wow');
});
Promise.resolve().then(()=>console.log('yeah'));
- 코드 맨 밑에 Promise를 넣은 것은 resolve된 Promise도 nextTick처럼 다른 콜백들보다 우선시 되기 때문이다.
- 그래서 이 둘을 마이크로태스크(microtask)라고 구분지어 부른다.
본 내용은 Node.js 교과서 (길벗 출판사) 개정 2판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청과 응답 (0) | 2020.12.10 |
---|---|
파일 시스템 접근하기 (0) | 2020.12.05 |
노드 기능 (0) | 2020.12.05 |
프론트엔드 자바스크립트 (0) | 2020.12.04 |
ES6(3) (0) | 2020.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