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백트래킹
- 디비
- 노드
- API문서
- OS
- 보안
- node.js
- 알고리즘
- ES6
- rest docs
- 컴퓨터 보안
- DATABASE
- 백준
- IT
- 탐욕기법
- 인터럽트
- S3
- access control
- NEST
- AWS
- 자바스크립트
- 스프링부트
- 운영체제
- 컴퓨터
- 되추적
- 컴퓨터보안
- DB
- node
- 병행제어
- 데이터베이스
Archives
- Today
- Total
개발스토리
REST와 라우팅 본문
-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줄임말이며, 서버의 자원을 정의하고 자원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을 가리킨다.
- 자원이라고 해서 꼭 파일일 필요는 없으며 서버가 행할 수 있는 것들을 통틀어서 의미한다.
- GET : 서버 자원을 가져오고자 할 때 사용된다. 요청의 본문에 데이터를 넣지 않는다.
- 데이터를 서버로 보내야 한다면 쿼리 스트링을 사용한다.
- POST : 서버에 자원을 새로 등록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 요청의 본문에 새로 등록할 데이터를 넣어 보낸다.
- PUT : 서버의 자원을 요청에 들어 있는 자원으로 치환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 요청의 본문에 치환할 데이터를 넣어 보낸다.
- PATCH : 서버 자원의 일부만 수정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 요청의 본문에 일부 수정할 데이터를 넣어 보낸다.
- DELETE : 서버의 자원을 삭제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 요청의 본문에 데이터를 넣지 않는다.
- OPTIONS : 요청을 하기 전에 통신 옵션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주소 하나가 요청 메서드를 여러 개 가질 수 있다. 또한, GET 메서드 같은 경우에는 브라우저에서 캐싱(기억)할 수도 있으므로 같은 주소로 GET 요청을 할 때 서버에서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캐시에서 가져올 수도 있다. 캐싱이 되면 빠르고 성능이 좋아진다.
res.end 앞에 return은 왜 붙일까?
res.end 만을 호출하면 함수가 종료되지 않는다. return을 붙이지 않는 한 함수는 종료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음에 코드가 이어지는 경우에는 return을 써서 명시적으로 함수를 종료한다.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s와 http2 (0) | 2020.12.10 |
---|---|
쿠키, 세션 (1) | 2020.12.10 |
요청과 응답 (0) | 2020.12.10 |
파일 시스템 접근하기 (0) | 2020.12.05 |
노드 내장 객체 (0) | 2020.12.05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