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106)
개발스토리
Role-Based Access Control(RBAC) ■ 각 사용자 대신에 역할별로 접근 권한을 할당 ■ 상업적으로 회사, 기관, 조직에서 많이 쓰임 ■ 예를 들어, 회사에 팀장과 팀원마다 역할이 다르면 각각의 사용자 별로 권한을 주는 것이 아니라 팀장, 팀원 등에 역할에 맞게 접근 권한을 할당해 주는 것이다. -> 메모리 낭비가 줄어든다. ■ 각각의 사용자는 권한에 할당되는 것이 아니라 role(역할이나 직급)에 할당되게 된다. ■ 이점 - 예를들어, 어떤 사용자는 팀장이자 팀원일 수도 있다. 두 개의 역할을 가질 수도 있다. 이 상황에 따른 권한을 할당 받는 것이 쉽다. 또한, 팀장 역할을 그만두게 될 시에 전체 구조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연결만 끊어주면 돼서 간단하다. -> 관계에 따른 연결 해..
Discretionary access control (DAC) ■ 임의 접근 제어 ■ 요청자의 신원에 따라 무엇을 할 수 있는 지 정의 ■ Window, unix 등 컴퓨터 시스템 널리 사용 ■ Access Matrix 사용 - 주체와 객체, 권한을 행렬로 표현 - 단점 : 주체와 객체가 많아질수록, 메모리 낭비가 심해질 수 있다. ■ 단순하고 직관적임 Access Matrix ■ 행 : 자원 접근 주체, subject ■ 열 : subject가 접근하는 대상 자원, object ■ Entry : 허용되는 접근, access right 방법1. ACL - Access Control Lists ■ Access matrix를 열로 분리 ■ 객체에 대한 권한을 가진 주체 파악에 유리 ■ linked list ..
Access Control(접근 제어) ■ 보안 정책에 따라 시스템 자원 사용을 규제하고, 인가된 존재(사용자, 프로그램, 다른 시스템)에게 사용을 허가 즉,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의 자원 접근을 막고 정당한 사용자라도 허가되지 않은 방법으로 자원 사용을 막는다. 정당한 사용자가 허가된 방식으로만 자원에 접근하도록 한다. Access control components ■ Authentication function -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지 결정 ■ Access control function - 사용자의 요청이 허용되는지 결정 ■ Security admin - 사용자의 요청이 자원에 어떻게 접근하는지를 명시한 권한 DB를 관리 ■ Audit - 사용자가 시스템 자원에 접근하는 것을 log로 기..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최소 비용 신장 트리 찾기 _ 간선 지향 전략 1. 그래프에 남아 있는 가장 가중치가 작은 간선을 선택한다. 2. 선택된 간선이 합쳐진 두 개의 정점들 사이에 있다면 그 간선을 버리고 아니면 최소 비용 신장 트리에 추가. 3. (n-1)개의 간선들이 추가될 때까지 과정 1과 2를 반복한다. 예: 간선 지향 전략_크루스칼 알고리즘 1. 간선들을 가중치에 의해 정렬한다. 2. (a,b)가 가중치가 가장 작으므로 선택하여 T에 추가하고, 정점 a와 b를 합친다. 3. 남은 간선들 중 (d,e)가 가중치가 가장 작으므로 선택하여 T에 추가하고 그래프의 정점 d와 e를 합친다. 4. 남은 간선들 중 (a, e)와 (b, e)가 가중치가 가장 작으므로 임의로 (a, e)를 선택하여 T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