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106)
개발스토리

JavaScript는 본인만의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JavaScript는 멀티-패러다임 언어로 명령형, 함수형, 프로토타입 기반 객체지향 언어이다. 클래스가 없어서 객체지향이 아닌 것이 아니다. 즉, JavaScript는 클래스 개념이 없고 별도로 객체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한다. * 생성자 함수 * 객체 리터럴 * Object() 생성자 함수 위에 코드에서 문제점이 무엇일까? -> 같은 역할을 하는 객체들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같은 역할을 하는 객체를 하나로 통합하지 않고 놔두면서 중복이 발생한다. 중복이 발생하면 코드 양이 늘어날 뿐 아니라, 유지 보수하는 데에도 어렵다. 따라서, 중복을 제거하기 위해 생성자, new를 사용한다. 이렇게 생성자, new를 사용해서 중복을 제거할 수..
오늘날에 프로그래밍 언어(Java, Python, PHP, C# etc)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지원한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더 나은 프로그램으로 만들기 위해 로직을 상태와 행위로 이루어진 객체로 만드는 것이다. 이 객체들을 퍼즐처럼 맞추어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라고 할 수 있다. 각 객체는 메시지를 받을 수도 있고,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으며, 또 다른 객체와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런 것들이 인터페이스가 일어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따라서, 각 객체는 별도의 역할을 갖고 책임을 가지는 작은 독립된 부품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부품들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방법만 알면 쓸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내부의 동작 방법을 안으로 숨기고 사용자에게는 부품의 사용법..
지난 방학 때 node.js를 공부하다가 다시 공부에 돌입하였다. 지난 방학 때 공부 방법은 잘못되었다가 생각하여 같은 실수를 하지 않기 위해 제대로 시작해보려고 한다. 공부는 생활코딩 강의를 기본으로 하고 모르는 것은 유튜브와 구글, 전공 서적으로 보충해 나갈 것이다. 시작!!!!
* 인터럽트 처리는 먼저 하드웨어적인 처리가 수행되고, 다음으로 소프트웨어적 처리가 수행된다. - 아래 처리 과정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 이전 포스팅들을 다시 보고 돌아오자. * 하드웨어적 처리 - 인터럽트가 일어나고 cpu가 하던 일을 멈추면 자동으로 수행된다. - 상태 레지스터 값을 저장. - 프로세서 모드를 커널 모드로 변경하여 os를 수행.(모드 비트를 변경) - pc 레지스터 값을 저장 - 발생된 인터럽트의 벡터 값(ISR 주소)을 PC레지스터에 저장 (OS내의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수행하게 된다) * 소프트웨어적 처리(OS가 수행함) - CPU 레지스터들의 값을 저장(메모리에 저장) - 인터럽트 처리 코드를 수행 - CPU 레지스터 값을 복원( 저장된 값들을 CPU 레지스터에 load..